서비스안내
장애인의 권익증진과 지역사회 복지 증진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.
지역상생팀
재가에서 욕구에 맞는 서비스를 누리고 지역사회와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여 자립생활을 도모합니다.
재가에서 욕구에 맞는 서비스를 누리고 지역사회와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여 자립생활을 도모합니다.
사업명 | 프로그램명 | 이용대상 | 진행시기 | 서비스 내용 |
복지사각지대 해소사업 | 행정복지센터 대상 사업설명회 | 행정복지센터 장애인복지 담당 주무관 | 2월~3월 |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담당 주무관을 대상으로 사회적약자 발굴을 위한 사업설명회 진행 |
사회적약자 발굴 | 지역사회 내 사회적약자 | 발생 시 | 서비스연계의뢰, 이동복지관 서비스 등을 통해 사회적약자를 발굴하여 상담 진행 | |
이동복지관 | 읍면지역 | 4월, 6월 ※ 추가 지원 가능 | 읍면 행정복지센터와 협력하여 이동복지관 상담서비스 및 복지관 홍보 진행 | |
권익옹호 | 인권침해 피해 장애인 | 발생 시 | 인권 관련 권익옹호지원, 인권상담, 발달장애인 진술조력 등 | |
위기가정지원 (개별 사례에 맞는 공모사업 지원) | 위기 상황에 놓인 장애인 가정 | 발생 시 | 사례발굴 및 서비스 의뢰에 따른 개입 등 개별위기에 따라 맞춤 지원, 위기에 따른 공모사업 지원 | |
재가복지 서비스사업 | 생활편의지원 서비스 | 지역사회 내 저소득층 재가장애인 (읍면지역 우선) | 1월~12월 | 간편식품지원(월2회), 관내미용(월1회), 방문미용(월3회), 방문세탁(월1~3회) |
보금자리개선 서비스 | 연중 | 노후 집수리 | ||
계절맞춤지원 서비스 | 1월, 4월, 7~8월, 9월, 12월 | 김장김치 나눔, 명절 행사, 무더위 생수 지원, 동절기 위기가정 지원 | ||
가족휴식지원 서비스 | 10월 | 발달장애인 가족휴식지원 힐링캠프 1박2일 참여 지원 | ||
건강관리지원 서비스 | 2월~12월 | 충주의료원 혈액검사(연1회), 보건소 건강관리(월1회), 결핵 이동검진(연1회), 비상약품 조사(연2회), 보장구점검(연2회) | ||
평생설계지원사업 | 장애(경계)자녀 부모대상 평생설계 | 장애(경계)자녀 부모 | 2월, 10월 | 장애(경계)자녀 대상 평생설계 프로그램 |
성인전환기 발달장애인 평생설계 | 청소년 및 성인 발달장애인 | 3월, 11월 | 청소년 및 성인 발달장애인 대상 성인전환기 대비 프로그램 진행 | |
평생설계수립 | 평생설계 희망 장애인 및 가족 | 1월~12월 | 교육, 건강, 여가, 대인관계, 직업, 주거, 재정, 법률 8개 영역 평생설계 수립 | |
자원관리사업 | 통합상담 | 복지관 이용을 희망하는 신청자 | 발생 시 | 복지관 서비스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및 접수 등록, 영역별 전문화된 상담 |
사정회의 | 1월~12월 주1회 | 영역별 사정 결과에 따른 서비스 지원계획 수립 | ||
사례관리 | 사례관리가 필요한 장애인 | 발생 시 | 복합적인 위기상황이 있는 이용인 및 가정에게 다양한 지역자원을 연계 및 제공하여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집중관리시스템 | |
통합사례회의 | 분기별 4회 | 외부 자원연계관리 및 전문가 확보를 통한 사례지원 전문성 증대 | ||
사례회의 | 복지관 내부 사례회의 분기별 1회(3, 6, 9, 12월) 진행, 신규 및 종결 사례관리 대상자 선정 또는 필요시 회의 진행 | |||
사후 모니터링 | 사례관리 종결 재가장애인 | 사례관리 종결 시 | 사례관리 종결 재가장애인 모니터링, 사안에 따라 기간 결정 | |
고충처리 | 복지관 이용인 | 발생 시 | 자원복지관 시설 민원, 소리함, 온라인 상담실 등 15일 내 고충처리 지원 | |
자립정착지원사업 | 자립진단 | 자립 예정자 | 발생 시 | 자립의지, 주거관리, 직업역량, 경제관리, 자기보호, 자원활용, 일상생활관리, 사회적기술 영역 진단 |
자립지원계획수립 | 자립진단 결과를 토대로 자립지원계획 수립 | |||
싱글라이프 공모전 | 충북 내 장애인 1인가구 | 4월 | 장애인 1인 가구 즐거운 생활에 대한 사진, 영상 공모전 및 전시회를 통해 지역사회의 자립생활에 대한 인식 개선을 도모하고 장애인 1인 가구 자립 정착 지원 | |
통합돌봄 | 자립한지 3년 이내의 장애인 또는 자립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 | 1월~12월 | 자립진단 결과를 토대로 취약 영역 코치 지원 | |
자립캠프 | 자립선배, 자립예정자, 자립새내기(3년 미만) | 9월 | 탈시설 선배 및 자립예정자와 함께하는 자립 캠프 진행 | |
고독사 예방을 위한 사회적 고립가구 지원 및 대응체계 구축사업 | 고립보다 Go Life (공동모금회 전국기획사업) | 지역사회 내 1인 가구 장년(만50세 이상 64세 이하) 및 노인, 장애인 | 2022년 8월 ~ 2025년 7월 | Go Life 홍보, 네트워크, 주민조직, 고립가구 지원 등 |
※
사업명 |
프로그램명 |
이용대상 |
진행시기 |
서비스 내용 |
복지사각지대해소사업 |
행정복지센터 대상 사업설명회 |
행정복지센터 장애인복지 담당 주무관 |
2월~3월 |
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담당 주무관을 대상으로 사회적약자 발굴을 위한 사업설명회 |
사회적약자 발굴 |
사회적약자 |
발생 시 |
서비스연계 의뢰, 이동복지관 서비스 등을 통해 사회적약자를 발굴하여 상담 진행 |
|
이동복지관 |
읍면지역 |
4월, 6월 ※ 추가 지원가능 |
읍면 행정복지센터와 협력하여 이동복지관 상담서비스 및 복지관 홍보 진행 |
|
권익옹호 |
인권침해 피해 장애인 |
발생 시 |
인권 관련 권익옹호지원, 인권상담, 발달장애인 진술조력 등 |
|
위기가정지원(개별 사례에 맞는 공모사업 지원) |
위기상황에 놓인 장애인 가정 |
발생 시 |
사례발굴 및 서비스 의뢰에 따른 개입 등 개별위기에 따라 맞춤 지원, 위기에 따른 공모사업 지원 |
|
재가복지 서비스사업 |
생활편의지원 서비스 |
지역사회 내 재가장애인 (읍면지역 우선) |
1월~12월 |
간편식품지원(월2회), 관내미용(월1회), 방문미용(월3회), 방문세탁(월1~3회) 등 |
보금자리개선 서비스 |
연중 |
노후 집수리 |
||
계절맞춤지원 서비스 |
1월, 4월, 7~8월, 9월, 12월 |
김장김치 나눔, 명절 행사, 무더위 생수 지원, 동절기 위기가정 지원 |
||
가족휴식지원서비스 |
10월 |
발달장애인 가족휴식지원 힐링캠프 1박2일 참여 지원 |
||
건강관리지원서비스 |
2월~12월 |
충주의료원 혈액검사(연1회), 보건소 건강관리(월1회), 결핵 이동검진(연1회), 비상약품 조사(연2회), 보장구점검(연2회) |
||
평생설계지원사업 |
장애(경계)자녀 부모대상 평생설계 |
장애(경계) 자녀 부모 |
2월, 10월 |
장애(경계) 자녀 대상 평생설계 프로그램 |
성인전환기 발달장애인 평생설계 |
청소년 및 성인 발달장애인 |
3월, 11월 |
청소년 및 성인 발달장애인 대상 성인전환기 대비 프로그램 진행 |
|
평생설계수립 |
평생설계 희망 장애인 및 가족 |
1월~12월 |
교육, 건강, 여가, 대인관계, 직업, 주거, 재정, 법률 8개 영역 평생설계 수립 |
|
자원관리사업 |
통합상담 |
복지관 이용을 희망하는 신청자 |
발생 시 |
복지관 서비스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및 접수 등록, 영역별 전문화된 상담 |
사정회의 |
1월~12월 주1회 |
영역별 사정 결과에 따른 서비스 지원계획 수립 |
||
사례관리 |
사례관리가 필요한 재가장애인 |
발생 시 |
복합적인 위기상황이 있는 이용인 및 가정에게 다양한 지역자원을 연계 및 제공하여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집중관리시스템 |
|
통합사례회의 |
분기별 4회 |
외부자원 연계관리 및 전문가 확보로 사례지원 전문성 증대 |
||
사례회의 |
복지관 내부 사례회의 분기별 1회(3, 6, 9, 12월), 신규 및 종결 사례관리 대상자 선정 또는 필요 시 회의 진행 |
|||
사후 모니터링 |
사례관리 종결 재가장애인 |
사례관리 종결 시 |
사례관리 종결 재가장애인 모니터링, 사안에 따라 기간 설정 |
|
고충처리 |
복지관 이용인 |
발생 시 |
복지관 시설 민원, 소리함, 온라인 상담실 등 15일 내 고충 처리 지원 |
|
자립정착지원사업 |
자립진단 |
자립 예정자
|
발생 시
|
자립의지, 주거관리, 직업역량, 경제관리, 자기보호, 자원활용, 일상생활관리, 사회적기술 영역 진단 |
자립지원계획수립 |
자립진단 결과를 토대로 자립지원계획수립 |
|||
싱글라이프 공모전 |
충북 내 장애인 1인가구 |
4월 |
장애인 1인 가구의 즐거운 생활에 대한 사진, 영상 공모전 및 전시회를 통해 지역사회의 자립생활에 대한 인식 개선을 도모하고 장애인 1인 가구 자립 정착을 지원 |
|
통합돌봄 |
자립한지 3년 이내의 장애인 또는 자립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 |
1월~12월 | 자립진단 결과를 토대로 취약 영역 코치 지원 | |
자립캠프 |
자립선배, 자립예정자, 자립새내기(3년 미만) |
9월 |
탈시설 선배 및 자립예정자와 함께하는 자립 캠프 진행 |
|
고독사예방을 위한 사회적 고립가구 지원 및 대응체계 구축사업 |
고립보다 Go Life(공동모금회 전국기획사업) |
지역사회 내 1인가구 장년(만50세~64세) 및 노인, 장애인 |
2022. 8. ~ 2025. 7. |
Go Life 홍보, 네트워크, 주민조직, 고립가구 지원 등 |
개인정보처리방침 | 직원로그인
주소 : (우) 27489 충청북도 충주시 도장관주로 34-17 | 대표번호 : (043) 856-1100 | 팩스번호 : (043) 856-1103
장애상담 : (043) 856-6400 | 직업상담 : (043) 856-1106 | 이메일 : cbrorkr@hanmail.net
COPYRIGHT ⓒ 2021 CBR.OR.KR ALL RIGHTS RESERVED.
DESIGNED BY 아이웹플디자인
개인정보처리방침 | 직원로그인
주소 : (우) 27489 충청북도 충주시 도장관주로 34-17 | 대표번호 : (043) 856-1100 | 팩스번호 : (043) 856-1103
장애상담 : (043) 856-6400 | 직업상담 : (043) 856-1106 | 이메일 : cbrorkr@hanmail.net
COPYRIGHT ⓒ 2021 CBR.OR.KR ALL RIGHTS RESERVED. DESIGNED BY 아이웹플디자인
개인정보처리방침
| 직원로그인
주소 : (우) 27489 충청북도 충주시 도장관주로 34-17
대표번호 : (043) 856-1100 팩스번호 : (043) 856-1103
장애상담 : (043) 856-6400 직업상담 : (043) 856-1106
COPYRIGHT ⓒ 2021 CBR.OR.KR ALL RIGHTS RESERVED.